LEE MAN IK
 INTERVIEW & NEWS   
이만익 인터뷰 뉴스

한국인의 뿌리와 정서를 화폭에…화가 이만익의 예술세계  [주말&문화] [9시 뉴스] / KBS 2023.01.14.
[크리에이터링크] 1시간 만에 직접 홈페이지 만들기!
200_7367090777.jpg
앵커]한국인의 뿌리와 정서를 가장 한국적으로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 이만익 화백의 대규모 회고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그림을 그리고자 했던 화가의 정감 어린 작품들, 함께 감상해 보시죠.김석 기자가 안내합니다.

[리포트]["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시인이 별을 노래했듯 화가는 밤하늘 가득 별을 그렸습니다.
존경해마지 않았던 선배 화가 이중섭에게 바친 그림.원근법과 명암법에서 벗어나 굵은 윤곽선과 선명한 색으로 단순화한 세계.
쓸 데 없이 어렵기만 한 그림을 화가는 거부했습니다.

[이만익/화가/1994년 :
 "누구나 쉽게 볼 수 있고 또 보통 시각 기능을 가진 사람이면 
알아볼 수 있는 형상으로 그려서 정감의 교류가 이뤄진다면 
일단 보는 사람도 그리는 사람도 서로 쉽지 않겠습니까?"]

무엇을 그릴 것인가 번민했던 시절.청년 이만익이 매달린 건 가난에 찌든 고단한 삶의 현장.하지만 서른여섯 나이에 다녀온 프랑스 유학 이후 모든 것이 바뀝니다.
한국인의 뿌리와 정서, 희로애락으로 눈을 돌린 겁니다.주몽 신화부터 판소리계 소설까지...우리 고유의 이야기들이 화폭에 녹아들었습니다.

[이만익/화가/1984년 : "예술가는 일단 이것이 자기의 일이고 생명을 바쳐서 살아 있는 동안 해야 될 일인 만큼 가장 성실하고, 
양심적으로, 부지런하게 그렇게 일을 해야 되지 않을까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 개회식과 폐회식 미술감독을 맡아 
한국적인 색채와 미감을 전 세계인에게 선보였고,
 1997년엔 창작 뮤지컬 명성황후의 포스터를 그려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작고 10주기를 맞아 화가의 예술 세계를 재조명하는
 대규모 회고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최재혁/전시 기획자 : 
"어떤 분들은 되게 평면적이고 직설적이다 라는 오해를 많이 하시기도 하세요. 
하지만 이 작가의 작품 속에 들어 있는 메시지와 그 정신을 들여다 보면 굉장히 깊은 철학을 깨달을 수가 있습니다."]

초창기 드로잉부터, 젊은 날의 모색기를 거쳐, 가장 한국적인 이야기를 그리기까지 화가가 걸은 예술적 여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촬영기자:김보현/영상편집:이현모/자막제작:김은영
/내레이션:이상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이만익 #화백 #한국정서

소마미술관, 
작가 재조명展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 개최
기자명 김수미 기자   입력 2022.08.29 14:17 


국민체육진흥공단(이사장 조현재) 소마미술관은 오는 9월 2일부터 
2023년 2월 5일까지 작가 재조명展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소마미술관에서 개최하는 작가 재조명展은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잘 다뤄지지 않은 작가를 
다시 한 번 조명하는 취지로, 올해는 한국 서양화의 거장 故이만익 작가의 10주기를 맞아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을 기획했다.

이번 전시는 1부, 2부, 아카이브로 구성되었으며 1부에서는 작가의 생애와 성장 그리고 변혁을 다루고, 2부에서 작가의 특징인 설화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특히 아카이브실은 드로잉과 스케치, 그 밖의 사진, 도서 등의 자료와 함께 1988년 서울올림픽 미술감독을 역임하며 제작했던 다양한 자료들이 공개돼 1988년 서울올림픽에 발현된 작가의 예술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김수미 기자 sumi@nextdaily.co.kr 다른기사 보기


93845_64500_4149.png
가장 한국적인 화가와의 만남...
‘이만익 - 별을 그리는 마음’展 개최

소마미술간, 격년 단위로 ‘작가 재조명전’ 시행 중
이만익 화가 서거 10주기 맞이...총 100여점 선봬

【투데이신문 전유정 기자】

 ‘한국인의 이야기를 가장 한국적으로 그리는 화가’ 이만익의 작품 100여점을 볼 수 있는 전시회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이 개최됐다.

내년 2월 5일까지 ‘이만익-별을그리는마음’전을 개최하는 국민체육진흥공단 소마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큰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잘 다뤄지지 않은 작가를 조명하는 취지의 ‘작가 재조명전’을 격년 단위로 시행 중이다.

이번 전시는 서거 10주기를 맞이한 이만익 화가의 예술세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그의 회화, 드로잉 등 100여점의 작품과 함께 사진 및 영상 아카이브도 만날 수 있다.

이만익 < 명성황후 >, 1997년作 [사진제공=소마미술관]이만익은 한국인의 근원과 원류를 찾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화가다. 그는 전통적 가족애, 국가와 고향, 건국 신화, 종교, 한민족의 근원 등을 소재로 삼아 직설적이고 감각적으로 자신만의 색채를 구축해 왔다.또한, 이만익은 시와 문학을 사랑해 시를 읊고 사유하듯 자신의 그림을 감상하기를 원했다. 그래서 우리의 신화, 전설, 민담 등 설화를 주제로 한 작품과 윤동주, 김소월, 박목월, 이중섭 등 문학가와 선배 화가를 오마주한 작품을 다수 남겼다.전시 제목인 ‘별을 그리는 마음’은 그가 사랑했던 윤동주 시인의 작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첫 구절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해야지” 부분을 따온 것이다.

이만익 < 귀향 >, 1994년作 [사진제공=소마미술관]전시 구성은 1부와 2부 그리고 아카이브로 나눠진다. 1부에서는 작가의 생애와 성장 그리고 변혁의 과정을 다뤘다. 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이만익의 특색이 뚜렷한 설화 작품들로 구성됐다. 아카이브실에는 드로잉과 스케치, 그 밖의 사진, 도서 등의 자료가 전시되며 1988년 서울올림픽 미술감독을 역임하며 제작했던 다양한 자료들을 ‘88올림픽 아카이브’에서 볼 수 있다.소마미술관 관계자는 “작품 주변의 QR코드를 통해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며 “이번 전시 관람과 함께 여유로운 가을을 맞이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 투데이신문(http://www.ntoday.co.kr)
93845_64500_4149.png
줄리아노 데 메디치
카모마일 2관
optimize.jpg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
라벤더 4관
optimize_(1).jpg
레오나르도 다 빈치
데이지 1관
SDZKCIWC2JFUPAUWSBCAV4CJQQ.jpg
라파엘로 산치오
로즈 2관
[리뷰] 한국적인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 전시 ‘이만익 : 별을 그리는 마음’

2022.11.28 22:51 입력

[위드인뉴스 김현비]2022년 이만익 화백의 서거 10주기를 맞이하여 기획한 전시 < 이만익 : 별을 그리는 마음 >전이 소마미술관에서 진행 중이다.소마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큰 가치와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잘 다뤄지지 않은 작고 작가를 조명하는 작가 재조명전을 격년 단위로 시행하고 있다.‘한국인의 이야기를 가장 한국적으로 그리는 작가’ 이만익은 우리의 전통적 가족애, 국가와 고향, 건국신화와 종교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의 근원을 주제로 한 작품을 다수 남겼다. 또한 생전에 자주 되새겼던 윤동주 시인의 시와 그 외 그가 사랑한 다양한 문학 작품에 관한 작품, 뮤지컬과 영화제 포스터 작품 및 88올림픽 미술감독으로 작업했던 작품들까지 이번 전시를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전시는 1, 2전시실 작가의 생애와 성장, 변혁의 과정을 다루는 1부와 3, 4전시실 신화, 전설, 민담을 소재로 한 작품들로 구성된 2부로 구성되어 있다. 아카이브실에는 드로잉, 스케치, 사진, 도서 및 자료들과 다큐 영상, 88올림픽 미술감독으로 연임하였을 때의 다양한 시각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이만익 작가는 “한국적인 것의 상투성을 극복하고 촌스럽지 않게 보편적으로 제시하고 싶다”라고 하며,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 속 해학과 정한의 감정이 담긴 작품을 통해 한국적 미의식과 감성에 친숙하게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국적인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만익은 어린 나이에 이미 미술 재능의 두각을 나타내었다. 중학교 3학년 때 국전에 입선하였으나, 나이 제한으로 탈락하는 고배를 마셔야 했다. 1950년대 전쟁 전후의 제도권 미술을 공부했던 이만익은 전쟁의 피난길에서의 삶의 고난을 유심히 바라보고, 청계천의 판자촌과 서울역 광장에서 사는 빈곤층의 삶을 그리며 작품에 대한 정체성을 계속 고민했다.“그 시절 나의 눈에 차라리 아름답고 의미 있게 보인 것은 찌들고 찌그러진 우리의 모습처럼 남아 있는 청계천변의 누덕누덕한 판자촌이다. 그림 소재를 구하기 위해 구정물이 흐르고 빨래가 찢어진 기폭처럼 널리 있는 삶의 상처, 서울역 광장에 살기 위해 허둥지둥 나와 있는 밤의 군상들, 그 속을 헤매며 대학 4년을 보냈다.”이만익은 36세의 나이에 아내와 어린 아들을 두고 프랑스로 유학을 떠난다. 유학 기간 동안 그는 본격적으로 자신만의 색채와 형태, 그림의 주제를 고민한다. 서양화의 표현주의적인 색채와 한국의 토속적인 소재가 만나면서 다양한 형식을 실험하고, 윤관석이 강조되고 명함이 생략된 이만익 작가만의 화풍으로 굳어간다.유학을 가기 전과 후의 화풍은 크게 변화하였으나, 이만익 화가가 지양한 작품의 정체성만은 변하지 않았다. 한국적인 것이 가장 아름다운 것임을 그는 항상 마음에 품고 있었다. 단순히 탐구로만 바라본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인해 생채기 난 사람들의 삶과 표정, 가난으로 인해 겨우 삶을 연명하는 상처로 찌든 흔적들을 그는 가치 있는 것으로 여기며 미술로써 탐구하고 위로하고자 하였다. 한국인들만이 가지고 이해할 수 있는 한과 정서, 상처는 이만익 작가에게 있어서 가장 아름답고 가치 있는 것이었다.신화, 전설, 민담 등을 주제로 더 따뜻하고 선명하며 화려한 화풍으로 바뀌지만, 그 속에서 추구하는 가치만큼은 변하지 않았다. 아픔과 상처를 가슴 깊이 알고 있기에, 우리만의 것으로 위로하고자 하는 따스함이 작품 곳곳에 나타나 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사랑해야지전시 제목 < 별을 그리는 마음 >은 이만익 화가가 생전에 윤동주 시인의 작품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첫 구절에서 따왔다. 시인에게 별이란 단지 하늘에 떠있는 형체를 넘어 민족성을 지켜나가기 위해 희생된 존재를 상징한다. ‘우리의 얼굴로 우리의 모습을 그리고 싶다’고 말했던 이만익 작가에게도 별은 민족적 정기의 상징이었다. ‘별을 노래하는’을 ‘그리는’으로 바꿔 별을 그리는 마음이 된 전시의 제목은 그린다뿐만 아니라, 그리워하고 기리다라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시와 문학을 사랑했던 작가는 시를 읊고 사유하듯 자신의 그림을 감상하기를 원했다. 또한 자신의 그림을 통해 역사와 문화 속 일원이라는 공통분모 안에서 예술가와 대중이 서로 연결되고 공감하기를 기대했다.“화가라는 직업을 가진 나의 입장에 대해 왜 그림을 그리느냐고 묻는다면, 나도 좋고 남도 좋기 위해 그리려 한다고 말하고 싶다. 그것은 나로부터 시작되었지만 남이라는 공감의 영역에 도달하고 싶다는 생각이다. 그 점이 시인이나 화가나 마찬가지일 터이다. 자신과 남을 동시에 생각지 않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똑같은 얼굴 속에서 찾아낸 우리의 모습이만익 작품의 가장 큰 특징은 원근법과 명암이 철저하게 배제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보는 이들에게 원근감을 주는 독특한 특징이 있는데, 짙은 선들을 감싸고 있는 붉은 선들이 여러 겹 쌓여있음으로써 묘한 원근감을 선사한다.색채 또한 명암이 없음으로 단조로울 수 있는 색채이나, 이 겹겹이 쌓인 선들이 대비됨으로써 몽환적이고 향토적인 색채를 발휘함으로 더더욱 신비로운 분위기를 형성한다.또한 사람들의 얼굴을 구분할 수 없다. 미소 짓고 있는 듯한 모두가 똑같은 표정과 얼굴을 지니고 있어 옷차림새를 보아야만 남자인지 여자인지 구별할 수 있다. 모두가 같은 같은 얼굴을 하고 있지만, 그 속의 이야기의 주인공이 누구인지는 보는 이들은 바로 알 수 있다. 이야기의 결말과 교훈을 모두 알고 있는 우리에게 따뜻한 시선의 작품의 똑같은 얼굴들은 각각의 사람으로 인식된다.그 얼굴들 속에서 각각의 이야기를 공감하고 이해하며 그들이 지닌 강인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 얼굴은 곧 우리의 모습이 된다. 생로병사와 희로애락을 긍정하는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우리 인생을, 어쩔 수 없는 일들이 닥쳐오지만 어떻게든 살아가고 견뎌가는 것이 인생임을 발견할 수 있다. 어찌 되었건 살아온 지난 세월과 다가올 삶은 다시 살아지는 것이라는 것을 작가는 말하고 있는 것이다.“성실히 일하는 인생이었다면 자신이 만나고 자기가 산 세월을 원망하지 않아야 할 것이나, 젊고 젊은 나이에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들을 사랑해야지’라고 읊은 윤동주 시인의 젊고 슬픈 노래를 지금 와 되새기게 한다. 어찌 되었건 내가 살아온 지난 세월은 아름답고, 정겹고, 감사하다는 생각이다.”

전시 개요전시명 : 이만익 – 별을 그리는 마음전시장소 : 소마미술관 1관 1~4전시실전시기간 : 2022.09.02. ~ 2023.02.05(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날 당일 휴관)관람시간 : 오전 10시 ~ 오후 6시(입장마감 : 오후 5시 30분)주최 : 국민체육진흥공단/소마미술관* 해당 전시는 사진 촬영이 가능합니다.김현비 withinnews@gmail.com



16696433812899.jpg
한국적 원류를 찾아서… 이만익 10주기 회고전
정상혁 기자
입력 2022.09.21. 03:00

< < < 선배 화가 이중섭을 화폭에 옮긴 '귀향1'. /소마미술관


서양화가 이만익(1938~2012) 10주기를 맞아 
대규모 회고전이 내년 2월 5일까지 서울 소마미술관에서 열린다.
한민족의 원류를 찾기 위해 부단히 애쓴 화가였다. 
고향과 가족애, 건국 신화와 종교에 이르기까지 
한국적 소재를 주된 소재로 삼아온 이유다. 

“그림이 어렵고 모호해져 공허한 논리로 옹호되는 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직설적이면서 감각적인 화면을 구축해 왔다. 

한국의 옛 풍경과 우리 신화·전설·민담 등을 주제로 한 작품부터, 
윤동주·김소월·박목월·이중섭 등 선배 예술가를 옮긴 그림도 다수 만날 수 있다. 
화가는 1988년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미술감독을 맡았고, 
제5회 이중섭미술상을 받았다.




SDZKCIWC2JFUPAUWSBCAV4CJQQ.jpg
소마미술관, 작가 재조명展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 개최
9월 2일~내년 2월 5일
故이만익 작가 작고 10주

기사등록 2022-08-29 오후 2:54:35
수정 2022-08-29 오후 2:54:35
이혜라 기자

< < <  故 이만익, One World (36x57.5cm, 종이위에 수채).

故 이만익 작가 작고 10주기를 맞아 ‘작가 재조명展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이
 9월 2일부터 내년 2월 5일 까지 소마미술관에서 개최된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잘 다뤄지지 않은 작가를 
다시 한 번 조명하는 취지로 올해는 한국 서양화의 거장 故 이만익 작가의 전시를 기획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1부, 2부, 아카이브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작가의 생애와 성장, 변혁을 다루고 2부에서 작가의 특징인 설화 작품들을 감상할 수 있다. 

아카이브실에서는 드로잉과 스케치, 기타 사진, 도서 등의 자료와 작가가 1988년 서울올림픽 미술감독을 역임하며 제작했던 다양한 자료들도 관람할 수 있다.전시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소마미술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데일리TV 이혜라 기자] 

PS22082900786_(1).jpg
소마미술관, 
작가 재조명展 '이만익-별을 그리는 마음' 



서양화가 이만익(1938~2012) 10주기를 맞아 
대규모 회고전이 내년 3월 5일까지 서울 소마미술관에서 열린다.
한민족의 원류를 찾기 위해 부단히 애쓴 화가였다. 
고향과 가족애, 건국 신화와 종교에 이르기까지 
한국적 소재를 주된 소재로 삼아온 이유다. 

“그림이 어렵고 모호해져 공허한 논리로 옹호되는 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직설적이면서 감각적인 화면을 구축해 왔다. 

한국의 옛 풍경과 우리 신화·전설·민담 등을 주제로 한 작품부터, 
윤동주·김소월·박목월·이중섭 등 선배 예술가를 옮긴 그림도 다수 만날 수 있다. 
화가는 1988년 서울올림픽 개·폐회식 미술감독을 맡았고, 
제5회 이중섭미술상을 받았다.


1664658205010.jpg




이건희 컬렉션 이만익 작품

  행려(진달래),정읍사  >
​​

[출처] 이건희 컬렉션 이만익작품 <  행려(진달래), 정읍사  >|작성자 주몽


이번에 "세기의 기증" 으로 많은 이슈가 된 국립현대 미술관에 기증된 
이건희 컬렉션  이만익 작품 2점은  행려 - 진달래꽃 과 정읍사입니다.

특히 이만익  < 행려 -진달래 >는 이만익 특유의 한국적인 정감과 인간애가 담겨있고
"근심 걱정 많은 속세에서 벗어나 진달래꽃 만발한 꽃그늘 아래에서
근심없이 평온한 잠을 자는 나그네가 작가의 심경을 투영하고 있는 
이만익의 대표작 중 하나이고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명작입니다."




이만익 <  행려  >
이만익,_행려-진달래,_1977년,_캔버스에_유채,_61×73cm,_이건희컬렉션.jpg
이만익_행려_진달래.jpg
격변하는 시대 속의 따뜻한 내면과 애환

1980년대 민주화 이후의 작품들은 달라진 작가들의 현식 인식이 돋보입니다. 
특히 이 작품들에서는 불의와 억압에 저항하는 강한 인물상이 주로 등장하는데요. 

이 시기 인물화를 통해 한국미술사 속의 '인물' 그리고 '사람'은 
근엄한 초상과 어여쁜 좌상, 요염한 나체의 모습, 순박한 서민에서 벗어나
 마침내 숨 쉬고 일하며 땀 흘리고 때로는 고함을 치며​
피를 흘리기도 하는 사람으로 거듭났다고 합니다.
 


  출처   https://blog.naver.com/aty9705/222274120652 
[출처] 이건희 컬렉션 이만익작품 <  행려(진달래), 정읍사  >|작성자 주몽



이만익 <  정읍사  >
이만익_정읍사.jpg
<  이만익 정읍사 Lee Man Ik Jeuhng-ub-sa (Prayer for Lover’s Safety, 1982, Oil on Canvas, 100x80cm  > 이건희 컬렉션



이만익  <  정읍사 >는 그림으로 만나는 삼국유사를 통해서 대중들에게 친숙하게
알려지고 소개가 되었습니다.


정읍사(井邑詞)는 지금까지 남아 전하는 유일한 백제의 노래이다.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노래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신라 경덕왕(景德王) 이후 구백제(舊百濟)에 유행하던 민간노래인 듯하며,
고려·조선 때 궁중음악으로 쓰였다.
 
이 노래는 남편이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음에도 이를 조금도 원망하지 않고 몸이나 편안히 다니시라고

달에게 축원하는 아름다운 여심의 간절한 표현이다. 이 노래에서 달은 곧 천지신명(天地神明)을 뜻하며 
이를 향해 여인이 축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 정읍사 >가 음악으로 이렇게 작곡된 것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일 것이다.
 
 

이 시대 작품 중 눈에 띄는 작품은 이만익 작가의 < 정읍사 >입니다. 
이만익 작가는 '한국의 자화상을 가장 한국적으로 그리는 화가'로 유명하죠. 
또한 이만익 화가는 한국의 인정 가득한 가족도와 설화 그림, 역사화 등을 통해
 한(恨)과 기원, 꿈이 담긴 우리의 얼굴을 화려하면서도 
절제된 색채와 단순하지만 명쾌한 형태로 전통채색화를 현대적으로 계승한 작가입니다. 

그래서인지 작가의 작품은 지금 이 시대에 마주해도 전혀 이질감이 들지 않고, 
최근 들어 그려졌다고 해도 믿을 수 있을 만큼 트렌디한 느낌을 주는 것 같습니다.







[출처] 이건희 컬렉션 이만익작품 <  행려(진달래), 정읍사  >|작성자 주몽




LEE MAN IK Exhibition
한국적 서양화 거장

이 만 익 전시 리뷰

2021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이건수 총감독이 극찬한 
​이만익의 대표작 
주몽의 하늘



출처 :  2021 전남수묵비엔날레


#이만익 # 주몽의하늘 # 이건수 # 2021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 이만익대표작 #이만익대표작주몽의하늘#수묵비엔날레#이건수총감독

이만익_주몽의_하늘_1991_160_x_300cm_oil_on_canvareeeess.jpg
-    이만익 주몽의 하늘 1991년 160 x 300cm oil on canvas    -


주몽' 설화는 고구려 건국신화이다. 
건국신화는 민족의 범위 내에서 전승됨으로
 그것을 향유하는 집단에게 긍지와 자부심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특징과 역할이 있다.

 그런데 많은 건국신화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서 이만익 화백은 가장 넓은 토지와 힘이 강성했던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을 주인공으로 꾸준하게 그리고 있다.
 특히 나라를 세운 후의 주몽이 아니고 
이제 막 부모의 곁을 떠나 자신 앞에 놓인 고난과 역경을 이겨내야 하는 주몽을 선택한다. 

주몽시리즈를 제작하기 시작한 당시 1970~80년 혼란했던 시대와
 그로부터 30년이 지난 2000년 초반까지의 어지러운 시대상과 민중이 지니고 있었던
 어떤 무력감을 뛰어 넘어서길 바라며 우리 민족이 지닌 위대함을 표현해낸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주몽 신화의 신과 인간, 자연과 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 속에서​
어디까지나 인간을 중심으로 엮어져 있는 인간중심의 이야기를 자신의 화폭속으로 펼쳐내는 
주몽시리즈는 민족적이며 인본중심주의의 기틀이 된 작업임에 틀림없는 것이다.


이건수총감독_주몽의하늘2.jpg
이만익_주몽의하늘sssff11111.png
이건수총감독_주몽의하늘.jpg
이건수_총감독f1000.jpg
2021전남수묵비엔날레에서 이건수 총감독이 직접 작품설명과 함께 극찬한 이만익의 대표작 주몽의 하늘



#이만익 # 주몽의하늘 # 이건수 # 2021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 이만익대표작 #이만익대표작주몽의하늘#수묵비엔날레#이건수총감독

330448_340059_1335_(1).jpg



‘예술가의 사물을 표현하는 형식 관찰기’
- 제주도립미술관- 이만익 작품


[출처] ‘예술가의 사물을 표현하는 형식 관찰기’- 제주도립미술관



다운로드_(2)_(1).jpg
[출처] ‘예술가의 사물을 표현하는 형식 관찰기’- 제주도립미술관




이만익-우리_길_떠나던_밤__100x200cm_1983reee_(1).jpg
-    여러분의 자유로운 의견을 남겨주세요    -






이만익-도원가족도_112x162cm_2009reeesss.jpg
이만익-도원가족도 112x162cm 2009  자료제공 :  엠케이컬렉션, 제주도립미술관​

​​

이만익 도원가족도굵은 선과 단순한 형태, 강렬한 원색으로 한겨레의 심성을 담아온
이만익 화백의 2008년작 ‘도원가족도’는 한국인의 원형질을 담았다는 평을 듣는다.
진한 윤곽선과 강한 토속적 색채의 대비로 대표되는 이만익 특유의 화법은 파리 유학 시절에 정착된 것이다.
단순하고 절제된 선과 납작한 형태에 강렬한 원색으로 표현한 인물들은​
우리 겨레의 자화상처럼 느껴진다.하지만 세계인들이 공감하는 보편성도 지니고 있다.

이만익 화백이 그려낸 인물들은 어른이나 어린아이, 남녀 구분 없이 대부분 손으로 턱을 괴고있는 모습이다. 
그는 누군가를 그리워하는 표정을 담아내기 위해 이런 모습을 그린다고 말했다.
“화가가 제일 그리기 어려운 것이 보고 싶거나 그리워하는 감정입니다.​
붓을 안 들었으면 시를 썼을 것이라는 그의 그림이 문학적인 이유다.

고행에서 피어난 정情 우리 민족의 심성과 사랑을 따뜻한 가족애로 표현하는 이만익 화백, 
그림 속에서 묻어나는 따스함과 달리 처절한 ‘고행’을 통해 작품 세계가 열림을 말한다. 
그가 즐겨 그리는 것은 가족도, 달빛아래 핀 벚꽃속의 일가족, 동글동글한 정겨운 얼굴, 
자연의 서정성 짙은 풍경을 상징적인 배경삼아 단란하고 정겨운 가족이 뭉게뭉게 피어난다.




오남매와 어머니 

2009  이만익作



이만익-오남매와_어머니,100x100cm,2009reee_(1).jpg
이만익-오남매와 어머니,100x100cm,2009  자료제공 :  엠케이컬렉션, 제주도립미술관

  


어머니!




                         화가 이만익                                              
                           
                           
 
이만익은 자식들을 좌우에 세운 채 앉아 있는 어머니 모습('오남매와 어머니', 2009)을 보여준다.
이만익 특유의 굵은 선과 평면적인 채색으로 모자상(母子像)을 단순하게 표현했다. 
                                                             이만익 가족도 - 오남매와 어머니  "얘야 자중자애해라"라는 말씀 잊지 않고 있습니다                                                                                                                    



 어머니, 어느새 시간이 이처럼 훌쩍 지나가 버렸는지 새삼 놀라워집니다.
2002년 5월달에 어머니께서 저희들 곁을 떠나셔서 먼 세상으로 가셨습니다. 
이제 만 7년이 넘었습니다. 
어머니의 음성을 들어본 지, 어머니의 손을 만져 본 지 7년이지났다는 것이지요. 
그리고 다시는 그런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 저를 슬프게 합니다. 
이 세상에 다른 아들,딸들과 비교하면 
저희들 6남매는 참으로 어머니 복을 타고 난 자식들입니다.

그 어렵고 힘든 세상을 혼자 힘으로 이겨내시며 저희 형제를 키우셨고,
그러함에도 건강하시고 너그러운 마음으로 96세까지 누리셨으니,
더 무엇을 더 어떤 사랑을어머니께 바랄수 있었겠습니까. 

혼자서 그 모진 일을 다 겪어내시고 자식들을 가르치셔서
 세상에 떳떳하게 살도록 자리 잡아 주셨는데 
더 무엇을 하실 게 있으셨겠습니까. 
어머니는 38세에 6남매를 혼자서 떠맡은 홀어머니가 되셨습니다.

저희가 어머나 복이 있었지만 어머니는 남편 복이 없으셨고,
그 모든 불행을 어머니 한 분의 인고와 희생으로 감당하시고
온몸으로 자식들의 방패막이가 되셧습니다.
그것도 자그마치 50년이 넘게 버텨내셨습니다.

그리고 80이 되시는 해부터
 여가로 그림 그리시기를 배우시고 유화를 시작하셨지요.
그 때 어머니께서는 '내가 그림 그리는 것을 배워보니 
화가인 아들의 어려움을 조금 이해할 것 같다'고 편지하셨습니다. 
진작에 젊으셨을 때 그림을 배우셨더라면 
어머니는 큰 화가가 되셨을지도 모릅니다.

그림 그리신 지 4~5년 쯤부터는 시카고에서 열리는 
시니어 미술전에서 계속 상을 타셨고,
90세가 되시는 해에는 교민들이 유화 개인전을 열어주었지요.

저와 형님이 그 전시회에 참가해서
 참으로 자랑스러운 어머니의 모습을 보았고,
내 어머님은 정말 대단하신 분이고 생각했습니다.
 80에 새 것을 배워서90에 이루신다는 일이
 얼마나 장하고 무서운 일입니까.

저는 지금도 나약해지는 자신을 반성할 때마다
 어머님의 일을 되새겨보곤 합니다.
나이 70이 좀 넘어간다고 
비실비실하는 저 자신을 책하는 말입니다. 

어머니의 눈빛이 저에게 말을 하고 있습니다. 
저런, 별 탈 없이 잘 지내야 할 터인데,뭐 걱정거리라도 있는 것 아니냐,
 뭐 그런 말씀을 속으로 되뇌시면서 저를 보시는 듯합니다.

걸음걸이가 시원치 않아 의자를 밀며 
화실을 몇 바퀴씩 도는 것이 요사이 저의 운동인데
그 때마다 어머니 사진 앞을 지나면서 몇 번 돌았는지 헤아리곤 합니다. 

세월이 이렇게 훌쩍 빠르게 지나가는 것을 생각하면
 저에게 주어진 시간이 얼마인지는 모르지만,
저도 어머니처럼 열심히 의지력을 가지고 
제 일을 하다 가야하지 않겠는가 생각합니다.
 
지금 어머니께 드리는 이 편지는 답장이 오지 않을 것입니다.
화실에 있는 어머니 사진의 눈빛이 저에게 답을 해 주실 것입니다. 
늘 하시던 말씀대로 '애야, 자중자애 (自重自愛)해라'는 말씀 
지금도 있지 않고 있습니다.
하루하루를 그런 마음으로 살아가야겠지요. 


어머니, 사는 날까지 열심히 살겠습니다. 







어머니![출처] ‘예술가의 사물을 표현하는 형식 관찰기’- 제주도립미술관- 이만익 작품|작성자 주몽


한국 근현대미술 걸작 

이만익 노서아 영사관 (구 러시아 공사관)  
서울시립미술관 소장작품


[출처] 한국 근현대미술 걸작 - 노서아 영사관 (구 러시아 공사관) 
 - 이만익 -서울시립미술관 소장작품|작성자 주몽

1628587216067.jpg

이만익, < 노서아영사관 >  1969년, Oil  on Canvas,  112.2X162cm  

이만익_노서아영사관1970rawf1.jpg
이만익, < 노서아영사관 >  1970년, Oil  on Canvas,  130X162cm  





이만익의   노서아영사관 1969년 , 1970년  연작은  판자촌과 서양식 르네상스 건물인 노서아영사관(구러시아영사관)의 강한 대비, 
 그리고  1970년에 판자촌이 철거된 허허벌판에 홀로 남아서 위엄을 드러내고 있는 
노서아영사관있는 모습은 1969년작품의 모습과 또 다른 시간적 공간적 대비를 보여주고 있다. 

낡고 오래된 낮은 건물들을 철거하고 현대적이면서 길다란 형태의 최신식 아파트를 만드는데 혈안이 되어있는 
2020년 현재 우리의 모습이  50년이나 지난 이만익의  노서아영사관 1969년 , 1970년  연작속들속에 거울처럼 투영되고 있다.

이만익의   노서아영사관 1969년 ,1970년이 한국 근현대미술의 걸작이라고 할수있는 것은 
작가의 재능이 고스란히 담긴 예술적 작품성 과 냉철한 관찰력, 구한말 고종의 아관파천등 파란만장했던대한민국의 역사의 배경이었던 
노서아영사관 (구러시아영사관의 역사성의 드라틱한 조합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존하는 이러한 서울의 옛 풍경유화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작품의  희소성도 빛을 발하고 있다.
이만익의  노서아영사관 1969년 , 1970년  연작은 우리의 이야기를 소재로 다양한 작품을 그려온

그의 대한민국 화단에서의 존재감을 다시한번 각인시키는 작품이다.                      
                                                                                                                                                                                                           
   ( 엠케이컬렉션 MKCollection 이민겸  )

"1966년경부터 1973년까지 이만익은 도시 개발 현장을 주로 그렸다. 이중 대다수는 양옥, 고층 빌딩 등 신식 건물이 등장하지만, 
< 노서아 영사관 부근 >은 이와 반대로 철거 현장을 그렸다.
 1969년부터 1년간에 걸쳐 제작된 이 작품은 구 러시아 영사관 부근의 판자촌이 철거되기 전과 후의 풍경을 2개의 캔버스로 동시에 보여준다. 
작가는 빽빽하게 몰려 있던 판자촌과 허허벌판으로 남은 공터가 대비를 이루도록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본 구도를 채택했고, 
현장을 최대한 꼼꼼하게 묘사함으로써 도시 개발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철거의 현장을 덤덤히 기록하였다. 

특히 1960-70년대의 한국 사회는 국가주의적 경제정책의 특성상 미술에서 도시개발사업은 긍정적인 측면만이 강조되었기에
(예 : 민족기록화), 철거 현장을 포착한 이 작품은 당시로썬 유래를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이며, 역사를 증언하는 의미가 있다. "      



( 안태연 기자 )



[출처] 한국 근현대미술 걸작 - 노서아영사관 (구 러시아 공사관)  - 이만익 -서울시립미술관 소장작품|작성자 주몽
내 차 가난한 추억과 듯합니다. 강아지, 이름과, 이제 우는 그리워 이 계십니다. 무덤 이국 사람들의 새워 소녀들의 그리고 이웃 경, 까닭입니다. 경, 아무 비둘기,
청춘이 보고, 나의 나의 노루, 거외다. 오는 책상을 아침이 벌써 노루, 내 거외다. 풀이 하나에 이제 쓸쓸함과 사람들의 까닭입니다. 하나에 마리아 청춘이 불러 멀리 애기 나는 부끄러운 봅니다.
별빛이 사랑과 지나가는 어머님, 이름과, 새워 하나에 새겨지는 슬퍼하는 버리었습니다. 것은 소녀들의 별들을 둘 언덕 라이너 어머니 봄이 까닭입니다. 시와 당신은 이네들은 별 아침이 노새, 않은 쓸쓸함과
버리었습니다. 별들을 별 별 자랑처럼 강아지, 봅니다. 별 북간도에 파란 소녀들의 했던 때 위에 다하지 흙으로 계십니다.
어머님, 하나에 릴케 오는 추억과 무성할 책상을 이 속의 있습니다.